노숙인 결핵관리, '돌봄 서비스' 연계돼야
작성자 김형준
우리나라의 결핵 발생률과 사망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 압도적으로 높다. 세계보건기구(WHO)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OECD 평균 결핵 발생률은 인구 10만명 당 11.7명, 사망률은 1명인 반면 우리나라는 각각 77명, 5.2명으로 1위었다. 가까운 일본은 각각 16명, 2.4명으로 집계됐다.

결핵 퇴치를 위해 국가에서 적극적으로 결핵관리사업을 실시하면서 전체 환자수가 감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일부 취약계층은 치료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특히 전문가들은 노숙인의 결핵 발병률이 매우 높다고 지적한다. 최홍조 결핵연구원 연구개발실장에 따르면 2009년~2010년 서울시 노숙인 결핵검진 결과, 노숙인 결핵유병률이 일반인에 비해 약 25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주거취약계층의 치료중단 비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약 2.6배 높았다.

조준성 국립중앙의료원(이하 NMC) 호흡기센터장은 “노숙인은 의료기관을 찾는 여건이 어려워 병이 진행돼 중증 증상이 발했을 때 응급실을 통해 입원되는 경우가 많다”며 “그들이 치료를 받지 못하면 심각한 지역사회의 감염원이 되는 것이다. 그들이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국민들도 결핵 감염 발병 위험이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노숙인 결핵환자를 관리하기 위해 최홍조 연구원은 ‘보건’과 ‘돌봄’ 서비스를 연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자립적 생활이 가능한 시설에서 관리해 치료중단 가능성을 줄여야 한다는 것이다.


최 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서울시는 보건소와 결핵협회, 관리시설, 시민단체 등과 함께 결핵관리관련 민·관협의체를 구성, 운영 중에 있다. 협의체에서는 결핵 노숙인 환자를 결핵관리시설(미소꿈터)에 입소시켜 치료가 종결될 때까지 관리하는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동검진을 통해 노숙인 환자를 발견하고, 병원 입·퇴원 후 시설에서 결핵약 복약 관리를 진행해 치료를 돕는 것이다. 치료 기간 동안 주거와 식사, 자활교육, 건강교육, 심리상담 등 노숙인에 필요한 돌봄 서비스도 함께 지원하고 있다. 

최 연구원은 “사업 진행 결과, 입소 생활을 한 노숙인의 사망률은 0%였다.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는 3.9%였으며 치료성공률은 96.1%에 달했다”고 말했다. 


김명희 시민건강증진연구소 상임연구원은 “취약계층 결핵환자를 지원하는 서비스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질병의 중증도나 사회경제적 취약성에 최적화된 서비스는 다양하게 갖춰지지 않았다”며 “정신질환 또는 당뇨 등 질환을 동반하고 있는 환자를 위한 입원 병상, 주거가 불안정한 계층이 외래 통원 치료를 할 수 있는 주거·보호 시설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노숙인 결핵환자를 관리하는 의료인의 처우 실태도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NMC에서 노숙인 결핵환자를 관리하는 수간호사 A씨는 “간호간병서비스가 도입돼 일반 병동에서는 간호사 한명 당 7~10명 환자를 볼 수 있다. 그러나 결핵환자가 수용되는 음압격리병실은 보조 인력 없이 최소 인력이 근무한다”며 “결핵환자에는 비순응 노숙인이 많고, 영양 상태가 좋지 않은 노숙인은 다른 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최소 인원으로 관리를 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고 호소했다.


그는 “그러나 결핵환자 관리를 하는 간호사들에게 주어지는 추가수당은 없고, 비순응 환자들로부터 감정노동을 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조준성 센터장은 “노숙인 환자의 가장 큰 특징은 환자가 의사의 처방 지시에 따르지 않는 ‘비순응’적 태도를 보인다는 것이다. 일상적인 대화가 어렵기도 하고, 정신질환을 가진 환자가 많다. 또 간호사를 폭행 또는 병실 내에서 음주, 흡연 등의 행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며 “그러나 이들을 퇴원시키면 치료 중단의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의료인은 감정노동에 시달리고 있다”고 말했다.

유수인 기자 suin92710@kukinews.com
쿠키뉴스 발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